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형태에 관한 것 체언과 조사 [제 14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떡이 떡을 떡에 떡도 떡만 옷이 옷을 옷에 옷도 옷만 낮이 낮을 낮에 낮도 낮만 꽃이 꽃을 꽃에 꽃도 꽃만 밭이 밭을 밭에 밭도 밭만 앞이 앞을 앞에 앞도 앞만 밖이 밖을 밖에 밖도 밖만 넋이 넋을 넋에 넋도 넋만 흙이 흙을 흙에 흙도 흙만 삶이 삶을 삶에 삶도 삶만 여덟이 여덟을 여덟에 여덟도 여덟만 곬이 곬을 곬에 곬도 곬만 값이 값을 값에 값도 값만 ◎ 체언과 조사의 개념 체언: 체언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가 있으며, 문장에서 주로 주어가 되는 자리에 오며, 조사와 결합하여 목적어, 보어 자리에 오기도 한다. 조사: 체언 뒤에 쓰여서, 그 체언이 뒤에 오는 말과 갖는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 체언과 조사의 표기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2024. 2. 29.
소리에 관한 것 모음 [제 8항] 계, 례, 몌, 폐, 혜'의 'ᅨ'는 'ᅦ'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ᅨ'로 적는다. (ᄀ을 취하고, ᄂ을 버림) ㄱ ㄴ ㄱ ㄴ 계수(桂樹) 게수 혜택(惠澤) 헤택 사례(謝禮) 사레 계집 게집 연몌(連袂) 연메 핑계 핑게 폐품(廢品) 페품 계시다 게시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 게시판 휴게실 ◎ ‘계, 례, 몌, 폐, 혜’의 경우 ‘계, 례, 몌, 폐, 혜’는 현실적으로 [게, 레, 메, 페, 헤]로 발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눈에 익어 있는 표기를 그대로 따라 쓰기로 한 것이다. ◎ ‘게’가 원음인 경우 한자 '偈[불교시 게], 揭 [걸 게], 憩 [쉴 게]'는 본음인 'ᅦ'로 적는다. 따라서 '게구(偈句), 게기(揭記), 게방(揭榜), 게양(揭揚), 게재.. 2024. 2. 29.
한글 맞춤법 총칙, 자모, 소리에 관한 것 한글 맞춤법 총칙 ◎ 총칙의 내용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의 대상 한글 맞춤법의 대상은 '표준어'이다.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표음주의) ❍ 표준어를 현재 발음되는 그대로, 즉 발음 형태대로 기록한다는 입장. 어법에 맞도록 한다 (표의주의) ❍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리와 멀어지더라도 어법에 맞게, 즉 각 형태소의 본 모양대로 적어야 한다는 입장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띄어쓰기의 목적 띄어쓰기는 문자사용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다.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 띄어쓰기의 단위 띄어쓰기의 단위를 ‘단어’로 잡았다. 그 이유는 단어가 독립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2024. 2. 28.
한국어 어문 규범의 개념 / 변천 과정 / 구성 1. 한국어 어문 규범의 개념 ◎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의미 사람들이 한국어라는 말과 글을 사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규칙을 표준화한 것 어문 규범은 모든 국민이 공적인 언어생활을 할 적에 반드시 지켜야 할 말과 글에 관한 규칙임 이것은 국민 각자가 동일한 단어를 달리 표기하고 달리 발음하면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사람끼리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정한 것 (이주행,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보고사) ◎ 표준화의 의미 표준화란? 궁극적으로 같은 언어 사용자들의 통일된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통일성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 의사소통의 문제 해소 ❍ 언어는 변한다. →변이에 따라 분화된 지역 방언이나 사회 방언은 한편으로는 동일 언.. 2024.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