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어 어문 규범의 개념 / 변천 과정 / 구성

by 터무니씨 2024. 2. 27.

1. 한국어 어문 규범의 개념

 

◎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의미

 

  • 사람들이 한국어라는 말과 글을 사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규칙을 표준화한
  • 어문 규범은 모든 국민이 공적인 언어생활을 적에 반드시 지켜야 말과 글에 관한 규칙임 이것은 국민 각자가 동일한 단어를 달리 표기하고 달리 발음하면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사람끼리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정한 (이주행,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보고사)

 

 

표준화의 의미

 

표준화란?

 

  • 궁극적으로 같은 언어 사용자들의 통일된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통일성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

 

  • 의사소통의 문제 해소

    언어는 변한다. →변이에 따라 분화된 지역 방언이나 사회 방언은 한편으로는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소통의 문제를 일으킬 있다.
정희: 퍼뜩와서밥무라!
동일 : 아따 어디께 무가 있다요? 정희: 아밥무라니까무시를찾노? 동일 : 무시가 뭐라요?

 

지역 방언을 씀으로써 위의 대화는 의사소통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언어의 변이를 인정하면서도,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 공동체를 대표하는

하나의 표준화된 언어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언어의 표준화가 필요한 영역

    ᄀ. 교육을 위한 통일된 언어 도구의 마련
    ᄂ. 정보의 축적과 독해를 위한 통일된 출판물의 생산
    . 정치, 외교, 경제, 예술, 문화등 국어의 운영과 관련된 전 영역

  • 언어 표준화의 주요 내용

    . 언어의 발음  표준발음
    . 사용할 낱말  표준어
    . 어법 → 한글 맞춤법, 표준어등
    . 표기  한글 맞춤법
    ᄆ. 사용상의예절 → 언어 예절

 

 

규칙으로서 표준화된 언어의 필요성

 

  • 어문 규범은 사람들이 언어생활에서 지켜야 할 공식적 규칙이다.
    사람의 언어생활은 자연법칙에 따르므로 소통의 문제가 없다면 자기 마음대로 언어생활을 영위할 있다.  그런데 어문 규범은 자유스러운 언어생활을 어느 정도 규제하는 것이다.

  • 어문 규범은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한국어 사용자들을 위한 표준화된 언어의 필요성

 

 

  • 한국어 사용 인구의 증가
    2013년도를 기준으로 하여 남북한 전체 인구 7400 , 여기에 재외동포 700 명가량을 합하면 8100 명이 된다
       (세계 10위권).
  • 한국어 학습자 증가
  • 한국어 보급과 교육 활성화
  • 표준화된 한국어 어문 규범 연구와 정비의 필요성

 

 

2. 한국어 어문 규범의 변천 과정

 

국문 시대 - 갑오경장 이후

 

  • 1894년(고종 31년) 갑오경장 시기의 칙령
    모든 공문에 국문으로 본을 삼으라.”
  • 수백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공용문에 써 왔던 조선 사회에 변혁이 일어났다.
  • '언문’이라 천대받던 한글이 비로소 나라의 글자인 ‘국문’으로 승격하였다.
  • 1897년 1월 이봉운의 <국문정리> : 처음으로 나온 근대적 국어 문법서

 

 

한글 시대 - 일제 강점기

 

  • 일제 치하인 1913년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다.
  • 1927 이후 한국 고유의 문자를 한글이라 하였다.
  • 1933 조선어학회에서한글 맞춤법 통일안 마련하였다.
  • 1936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간행
  • 1936조선어 표준말 발표
  • 1940년대 일제는 한국어 말살 정책 전개하였다.
  • 1941외래어 표기법 통일안발표하였다.
  • 1946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발표하였다.

 

 

국어 시대 - 해방 이후

 

  • 1945년 해방 이후 분단에 이르게 되었지만 여전히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남북한 모두 한국어의 표기법으로 채택하였다.
  • 1988년 어문 규범의 전면 개정
  • 1990년 ‘표준어 모음’ 공표
  • 2000 로마자 표기법 개정
  • 2005 국어 기본법이 제정되어 한국어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와 보급에 법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3. 한국어 어문 규범의 구성 원리

 

 

한국어 어문 규범의 구분

 

한국어 어문 규범의 구분

 

소리 언어 - 표준어 선정과 표준발음 문자언어-한국어표기의원리를밝히는규범, 띄어쓰기, 문장부호쓰기,
외래어의 표기,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화법(話法) - 경어법, 호칭어, 인사말, 한국어 사용상의 예절

 

 

소리언어 규범 - 한국어 표준어의 발음을 파악하여 표기하는 문제

문자언어 규범 – 소리언어의 사용환경에 관한 문제

결국, 모든 규범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다.


 한국어 어문 규범의 구성 원리

 

한글 맞춤법
 표기 원리
 띄어쓰기 규정
 문장부호 규정 

표준어 규정

 표준어 사정 원칙 
 표준 발음법

 표준어 모음

외래어 표기법 
 표기 원칙
21 언어의 표기 세칙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표기의 기본 원칙, 표기 일람

 

 

  • 한국어 어문 규범은 한국 정부의 어문 정책에 따라 국립국어원에서 제정과 보급을 맡고 있다.
  • 가지 규범의 하위 규정으로, 위의 제시와 같이 한글 맞춤법에는띄어쓰기, 문장 부호 포함되고, 표준어 규정에는표준 발음법 포함된다.

 

한국어 어문 규범의 간략한 의미

 

  • 한글 맞춤법 → 표기법
    한글 맞춤법 성격은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총칙 1항에 나타나 있다.

  • 표준어 규정 → 발음법
    표준어규정은 적어도 공적인공 간에서 만큼은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표준적인 말로 대화를 나누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표준어 규정1 표준어 사정 원칙2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음. ‘표준어 사정 원칙 그대로 경합하는 어휘 가운데 어떤 어휘를 표준어로 삼을 것인가를 규정해 놓은 것이고, ‘표준 발음법 표준어로 정해진 것을 어떤 원칙에 따라 발음할 것인가를 규정해 놓은 것이다.

  •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 외래어표기법은 외래어를 외국문자가 아닌 한글로 적을 때의 규칙을 정해놓은 것이다.
    로마자 표기법은 거꾸로 한국어를 한글이 아닌 로마자로 적을 때의 규칙을 정해 놓은 것이다.

 

한글 맞춤법의 정착

 

  • 1988년 1월 19일 문교부가 새로 개정 고시하여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도록 한 우리나라 현행 어문 규정이다.

  • 주요 개정 내용으로는, 한자어에서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음을 원칙으로 하였고(다만 두 음절로 된 6개 한자어만 예외로 사이시옷을 붙이기로 함), ‘가정란/가정난’ 등으로 혼용되어 쓰이던 것을 두음법칙 규정을 구체화하면서 ‘가정란’으로 적도록 하였다.

  • 띄어쓰기 규정에서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씀도 허용하였고, 성과 이름은 붙여 쓰도록 하였다.

  • 수의 표기에 있어서도 십진법에 따라 띄어 쓰던 것을 만 단위로 띄어 쓰도록 한 것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