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국어교육
1) 한국어의 위상
1960년대 말까지 한국내 언어로서 사용되었다.
이후 한국의 경제 발전과 K-culture 의 확산과 함께 해외에서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어 능력 평가 시험인 TOPIK 을 응시하는 전 세계 학습자의 수 역시 수십만명에 이르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전세계 7,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모어 사용자 수 기준으로 세계 14위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2) 외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
1. 미국
1960년대 한국인 이주 증가와 함께 시작되었다.
197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의 강화와 함께 한국어의 위상이 다소 높아지기 시작했다.
1995년에 SAT(미국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한국어가 포함되었다.
현재,
20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 관련 과정이 제공되고 있다.
K-12 교육 시스템에서 한국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주로 캘리포니아, 뉴욕 주에 집중)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7만 명가량이다.
특징:
실용 한국어 교육 강조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학습자 증가
2. 일본
재일동포에 의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일본인들의 한국어 학습이 많아졌다
1984년 NHK 방송에서 한국어 강좌 시작됐다.
700개 이상의 초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400여 개의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다
대학에서 한국어 전공 학생 약 1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10만 명가량이다.
특징:
대학 입시 과목으로 한국어 선택 증가
경제 협력 및 문화 교류 증진으로 인한 한국어 학습 중요성 강조
3. 중국
소수민족 정책에 의거 민족학교에서 한국어로 강의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현재 다수의 대학에서 한국어과의 박사 과정까지 개설되었으며,
북경 및 산둥 지역이 중심이 되어 한국어 교육이 틀이 잡혀 있는 상황이다.
160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 과정이 있으며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선택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30만 명가량이다.
특징:
한국어와 북한어가 혼재된 양상을 보임
실용 한국어 교육 강조
4. 유럽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서유럽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빠른 속도로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지역이다.
교포 및 주재원 대상으로 주말 한글학교가 설치된 경우가 많다.
30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 관련 과정 제공되고 있다.
유럽 한국어 학습자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5만 명가량이다.
특징: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학습자 증가
학문적 연구 목적의 한국어 학습 증가
다양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5. 호주
1970년대 이후 한국인의 이민이 늘면서 한국어교육의 수요가 생겼다.
9개 대학에서 한국어교육이 개설되어 있으며,
4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 관련 과정이 제공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선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3만 명가량이다.
특징:
한국 이민자 증가로 인한 한국어 교육 수요 증가
6. 러시아
고려인 및 사할린 출신 한인 중심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어교육이 시작되었다.
2012년 현재 35개 대학에서 한국어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어 과정이 제공되고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는 2023년 기준 2만 명가량이다.
특징:
정치 및 경제 협력 증진으로 인한 한국어 학습 중요성 강조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한국어 능력시험(TOPIK) 활용
7. 필리핀
2009년 기준 12개의 한글학교에서 1,200여 명에게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현재 국제성결대학(IEC)에 유일하게 한국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한국에서의 취업 희망자 증가로 한국어 교육의 수요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필리핀을 포함한 ASEAN 국가에서 한국어 능력시험(TOPIK) 공동 시행하고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자 수는 2023년 기준 20만 명가량이다.
특징:
한국 기업 진출 증가로 인한 실용 한국어 교육 강조
한국 드라마 및 K-POP 인기로 인한 학습자 증가
한국어 능력시험(TOPIK) 활용
3) 한국 내에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1. 한국어교육의 변천
- 1959년 연세대에 한국어학당 설립
- 김중섭(2004, 한국어교육의 이해)의 시대 구분에 따르면;
- 1970년대 : 한국어교육의 태동기
- 1980년대 : 한국어교육의 준비기
- 1990년대 이후 : 한국어교육의 정착기
한국에 오는 외국인이 늘면서 한국어 교육의 수요 급증하기 시작한 시기로,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한국어교사 양성 과정이 생기고 이중언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2. 2000년대의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의 정립기로서,
- 한국어교육에 대한 독자적 이론 연구 진행 되고 있다.
- 영역별로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한국어교육 내에서의 발음교육의 위치
한국어 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발음 교육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 살펴보자.
모든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일반 언어학과 개별적인 언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개별 언어학이 있다.
한국어가 대상이 된다면 한국어학이라고 하겠다.
개별 언어학 분야를 언어학적인 분야로 나누어 본다면, 일반적인 소리를 대상으로 하는 음운론, 문법적인 것이 댓아이 되는 형태론과 통사론, 뜻을 연구하는 의미론이나 화용론이 있다. 당연히 발음 교육의 기반이 되는 것은 음운론이다.
한국어 교육의 분야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이루어지고 있다.
말하기와 듣기 교육을 통한 표현, 일기와 쓰기 교육을 통한 이해, 그리고 국어학 기반의 발음 교육과 문법 교육이다.
더불어,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를 담고 있는 언어를 익히기 위해서는 문화교육도 포함되겠다.
그렇다면, 한국어교육 내에서의 발음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초급의 학습자의 경우, 각 교재의 예비편 등에서 자모 중심 발음교육으로 한국어교육이 시작된다. 자모, 음절의 발음에서 어렵지 않은 음운현상까지 교육되어진다.
중급 이상의 학습자의 경우는, 교육과정에 포함된 경우가 거의 없으며, 교사의 개인 의지에 따라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음교육의 시기와 방향
1) 학습 초기
- 발음은 언어의 분야 중 모국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분야이다.
-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발음교육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2) 중기 이후
- 학습자의 발음이 고착화되거나 퇴보의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중, 고급 화자에 대한 꾸준한 발음교육이 필요하다.
- 초급에서 고급의 학습자에 이르기까지 올바른 발음 교육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