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 사이시옷의 표기 조건
명사와 명사 사이에 쓴다.
- 바다+ᄉ+가 → 바닷가, 해+님(접미사) → 해님
앞 명사는 모음으로 뒤의 명사는 예사소리이어야 한다.
- 이+ᄉ+몸→잇몸, 뒤+꿈치→뒤꿈치, 위+층→위층
앞뒤 명사 중 최소한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한다.
- 나무+ᄉ+잎 → 나뭇잎, 코+ᄉ+병 → 콧병, 내(內)+과(科) → 내과
길이름
- 배호길, 개나리길
외래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경우
- 피자집, 핑크빛
표준 발음에 따른 경우
- 머리말, 반대말, 소개말, 인사말, 농사일
[제 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
◎ 사이시옷을 적는 구체적인 경우
- 뒤 단어의 첫소리 ‘ᄀ, ᄃ, ᄇ, ᄉ, ᄌ’ 등이 된소리로 나는 것
- 폐쇄시키는 음([ᄃ])이 뒤의 ‘ᄂ, ᄆ’에 동화되어 [ᄂ]으로 발음되는 것
- 뒤 단어의 첫소리로 [ᄂ]이 첨가되면서 폐쇄시키는 음([ᄃ])이 동화되어 [ᄂᄂ]으로 발음되는 것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
(2) 뒷말의 첫소리 'ᄂ, ᄆ' 앞에서 'ᄂ' 소리가 덧나는 것 -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ᄂᄂ' 소리가 덧나는 것 -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
◎ 두 음절 한자어의 예외적 표기
-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 6개 단어만은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로 적는다.
[제 31항] 두 말이 어울릴 적에 'ᄇ' 소리나 'ᄒ'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
|||
1. 'ᄇ' 소리가 덧나는 것 | |||
댑싸리(대ᄇ싸리) 입때(이ㅂ때) 좁쌀(조ㅂ쌀) |
멥쌀(메ᄇ쌀) 입쌀(이ㅂ쌀) 햅쌀(해ㅂ쌀) |
볍씨(벼ᄇ씨) 접때(저ㅂ때) |
|
2. ㅎ’ 소리가 덧나는 것 | |||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수캐(수ㅎ개) 안팎(안ㅎ밖) |
살코기(살ㅎ고기) 수컷(수ㅎ것) 암캐(암ㅎ개) |
수탉(수ㅎ닭) 암컷(암ㅎ것) |
암탉(암ㅎ닭) |
◎ ‘ᄇ’ 소리나 ‘ᄒ’ 소리가 덧나는 것의 표기
- 제31항 1에서는 ‘댑, 멥, 볍, 입, 접, 좁’ 등은 본래 ‘ᄇ’ 받침이 없어야 독립된 단어가 되는데 ‘ᄇ’이 덧붙어 나타난다.
- 제31항 2에서는 ‘ᄒ’ 종성 체언에 관한 규정이다.
준말
[제 32항]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다. |
|||
본말 | 준말 | 본말 | 준말 |
기러기야 | 기럭아 | 온가지 | 온갖 |
어제그저께 | 엊그저께 | 가지고, 가지지 | 갖고, 갖지 |
어제저녁 | 엊저녁 | 디디고, 디디지 | 딛고, 딛지 |
◎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의 표기
자음만 남으면 이것을 앞 음절의 받침으로 올려붙여 적는다.
- 온가지: ‘ᅵ’가 준 형태는 ‘온갖’
용언 어간의 끝음절이 줄어지고 어미가 붙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간이 줄어드는 현상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만 나타난다.
- 디디+지 → 딛지(○), 디디+었+다. → 딛었다(×)
[제 33항]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 |
|||
본말 | 준말 | 본말 | 준말 |
그것은 | 그건 | 그것이 | 그게 |
그것으로 | 그걸로 | 나는 | 난 |
나를 | 날 | 너는 | 넌 |
너를 | 널 | 무엇을 | 핏을 / 무얼 / 뭘 |
무엇이 | 뭣이 /무에 |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나타나는 준말 현상
체언에 조사가 붙을 때,
※ 나+는→난, 나+를→날
체언의 형태가 줄어지면서 음절이 축약되는 경우
※ 이것+이→이거+이→이게
체언의 형태가 줄어지면서 조사가 ‘-ᄅ로’ 나타나는 경우
※ 이것+으로 → 이걸로
축약만 일어나는 겨우
※ 무엇+은→뭣은, 무엇+이→뭣이
[제 34항] 모음 'ᅡ, ᅥ'로 끝난 어간에 '- 아/- 어, - 았 -/- 었 -'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
|||
본말 | 준말 | 본말 | 준말 |
가아 | 가 | 가았다 | 갔다 |
나아 | 나 | 나았다 | 났다 |
타아 | 타 | 타았다 | 탔다 |
서어 | 서 | 서었다 | 섰다 |
켜어 | 켜 | 켜었다 | 켰다 |
펴어 | 펴 | 펴었다 | 폈다 |
[붙임1] 'ᅢ, ᅦ' 뒤에'-어, -었-'이어울려줄적에는준대로적는다. |
|||
개어 | 개 | 개었다 | 갰다 |
내어 | 내 | 내었다 | 냈다 |
베어 | 베 | 베었다 | 벴다 |
세어 | 세 | 세었다 | 셌다 |
[붙임2] '하여'가한음절로줄어서'해'로될적에는준대로적는다. |
|||
하여 | 해 | 하였다 | 했다 |
더하여 | 더해 | 더하였다 | 더했다 |
흔하여 | 흔해 | 흔하였다 | 흔했다 |
◎ 모음 충돌 회피 현상
한 단어 내부에서 음절을 달리하여 모음과 모음이 연결되는 것을 피하려는 현상
※ 가+아→가, 개+어→개
[제 35항] |
|||
본말 | 준말 | 본말 | 준말 |
꼬아 | 꽈 | 꼬았다 | 꽜다 |
쏘아 | 쏴 | 쏘았다 | 쐈다 |
두어 | 둬 | 두었다 | 뒀다 |
[붙임1] '놓아'가'놔'로줄적에는준대로적는다. |
|||
[붙임 2] |
|||
괴어 | 괘 | 괴었다 | 괬다 |
되어 | 돼 | 되었다 | 됐다 |
쇠어 | 쇄 | 쇠었다 | 쇘다 |
◎ |
- 붙임 1의 경우, ‘놓아’가 실제로 [노아]로 발음되므로 줄여서 ‘놔’로 표기할 수 있다.
- 붙임 2에서 '됐다’는 ‘되었다’의 준말인데 ‘돼’와 ‘되’를 구별하는 게 어렵다.
※ 그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다니 참
※ 사업이 잘 되기를 바란다.